친환경 농산물 정의와 친환경 인증 종류

아토피 치료나 예방을 위해서는 좋은 먹거리와 환경이 중요합니다. 화학첨가물이 들어가 있는 음식 보다는 유기농 식품이 아토피 예방과 치료에 좋습니다. 유기농 농산물이나 제품은 국가나 국제기관에서 인증을 해주기도 하는데 친환경 농산물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친환경 인증 종류와 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친환경 농산물이란 무엇인가?

친환경 농산물이란 친환경 농법으로 생산된 농산물로 유기농과 무기농 농산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친환경 농법이란 환경보존과 소비자에게 보다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유기합성 농약과 화학 비료 등 화학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거나 적은 양만 사용하여 농작물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농약과 화학 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 유기농, 농약은 사용하지 않지만 화학 비료는 극소량만 사용하는 무농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통 무농약 농산물의 경우 화학 비료의 양이 권장량의 1/3이하일 때를 말합니다. 이런 친환경 농법으로 생산된 농산물을 친환경 농산물이라고 하며 유기농, 무기농 농산물로 나누어 인증을 받고 있습니다.

친환경 인증 기준과 종류

앞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농산물의 경우 친환경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은 크게 유기농 농산물과 무농약 농산물입니다. 아래의 인증 마크가 있는 농산물의 경우 친환경 인증을 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친환경 인증제도란 소비자가 안심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에서 인증하는 제도로 아래와 같은 마크들이 붙어 있다면 신뢰할 수 있다는 의미로 보면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친환경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먼저 유기농의 경우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을 말하며 전환기간이라고 해서 토양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기간이 있는데 이 유기합성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기간이 다년생 식물의 경우에는 3년, 그 외 작물은 파종 전 2년까지 사용하지 않아야 인증이 가능합니다. 결국 파종 전까지 지속적인 토양 관리가 되어야 하며, 그 만큼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 유기농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유기농 인증을 받은 경우 유기농산물, 유기축산물, 유기재배 농산물 또는 유기농 유기재배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농약 인증의 경우에는 유기합성농약은 전혀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량의 1/3 이하로 사용하여 재배한 작물에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기농과 달리 별도의 전환기간은 없으나 철저한 검사를 통해 화학 첨가물이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을 하게 됩니다. 유기농 인증과 같이 무농약, 무농약 농산물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포장이나 광고를 할 수 있습니다. 굳이 유기농과 비교하자면 친환경적인 면이 유기농이 더 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가격도 그 만큼 유기농이 조금 더 비싼 편입니다.

 

무항생제 인증의 경우에는 축산물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으로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사료를 먹여 키운 축산물에 대해 인증하는 것입니다. 항생제뿐만 아니라 향균제, 호로몬제가 포함되지 않은 사료를 먹은 축산물에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또한 친환경 인증 중 하나로 건강한 축산물 생산과 환경에 해가 되지 않는 축산 환경에 대한 인증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이 밖에 외국의 친환경 인증 제도도 있는데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마트에 가면 친환경이라는 이름을 붙인 농축산물들이 굉장히 많고 가격도 일반 농축산물에 비해 비쌉니다. 무분별하게 유기농, 무기농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전문 기관의 철저한 인증과 국가에서 인증한 마크가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시고 구입하시길 바랍니다. 친환경 농축산물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것은 환경에도 이득이 될 뿐만 아니라 아토피와 같은 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도 도움이 됩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살펴봤던 것처럼 아토피는 몸의 독소가 있으면 안되듯 화학 첨가물 없이 생산한 친환경 농축산물을 통해 자연 친화적인 식습관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안전하고 건강한 농축산물을 위해서 앞으로 더욱더 이런 인증을 받는 농축산물들이 많이 나오고 보편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