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방부제 파라벤 부작용 및 대체제
- 건강정보
- 2020. 9. 21.
시중에서 판매되는 화장품을 구입해서 성분표시를 보면 파라벤이라는 물질을 어렵지 않게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파라벤은 앞서 포스팅 했던 계면활성제와 함께 많은 화장품이나 세정제에 포함되는 물질입니다. 최근에는 파라벤 프리를 지향하는 제품들도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 파라벤은 화학물질로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피부건강을 위협하는 파라벤 부작용 및 대체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라벤이란 무엇인가?

그렇다면 현대 사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많은 화장품에 들어가는 파라벤이라는 물질은 무엇일까요? 파라벤은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보존제나 방부제의 원료로 박테리아 증식을 억제하고 미생물의 성장 억제에 탁월한 물질입니다. 화장품이나 연고, 액상 형택의 의약품이나 식품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195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며, 화장품에 방부제가 첨가 되지 않으면 얼마 후에 곰팡이가 피기 때문에 값싼 파라벤을 방부제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화장품에 포함되는 방부제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물질이 아닌 인공적으로 만든 물질입니다.
파라벤 부작용 및 유해성 논란

먼저 파라벤의 부작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파라벤이 함유 되어 있는 화장품을 사용 후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를 급 노화시켜 기미, 주름, 검버섯을 만들고 심각한 알레르기 피부염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여성호르몬에 악영향을 미치며, 정자기형, 전립선 장애와 유방암 유발 등을 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영국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유방암 조직에서 파라벤이 검출되었으며, 암으로 사망한 환자 중 상당 수에서 파라벤이 검출되는 등 부작용이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파라벤의 유해성에 대해서 아직도 논란이 남아 있습니다. 일단 파라벤은 체내에서 이종 에스테로겐을 모방하며 유방암이나 생식기 질환을 야기 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화장품은 소량의 파라벤이 사용되며, 체내에 흡수되는 파라벤의 양도 굉장히 적어 부정적인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입니다. 고농도 파라벤에 노출될 경우 유방암이나 내분비계 혼란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수 있는건 사실이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으로는 그러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 논란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으며, 세계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파라벤의 유해성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은 없다고 합니다. 다만 고농도 파라벤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일부 파라벤의 경우에는 유의해서 사용해야하며, 특히 환경오염을 유발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캐나다에서는 일부 파라벤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고 합니다.
파라벤 대체제

그렇다면 유해성 논란은 있지만 화학 물질이 아닌 천연 파라벤은 없을까요? 연구 결과에 의하면 블루베리에서 파라벤과 유사한 물질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또한 파라벤 대신 1,2-Hexanediol(1,2-헥산디올), Caprylyl Glycol(카프릴릴글라이콜), GlycerylCaprylate(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p-Anisic Acid(p-아니식애씨드), Pentylene Glycol(펜틸렌글라이콜),Ethylhexylglycerin(에칠헥실글리세린) 등과 같은 대체 방부제를 넣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제라고 해서 무조건 안전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파라벤보다 유해한 물질을 생산할 수도 있고 아직 연구가 부족한 경우가 많으니 사용에 유의해야 합니다.
몇년 전부터 천연 재료를 사용한 화장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파라벤의 안전성 문제로 다양한 입장들이 있지만 여전히 안전한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이 있습니다. 많은 대체제도 나와 있고 자체 개발한 재료로 무 파라벤을 강조하며 시중에 판매되는 화장품들도 많습니다. 화장품이나 식품의 변질을 막기 위해서 상업적인 제품에는 방부제는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그 방부제가 어떤 부작용을 야기하는지 제대로 알고 기준치에 맞게 적절히 사용한다면, 제품의 변질이나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는 것 보다는 낫다고 생각합니다. 피부건강을 위한 화장품 선택 시 다양한 성분들을 고려하여 좋지 않은 물질이 가장 적은 제품들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토피 추천 보습제 제로이드 실비 청구방법 (0) | 2020.09.21 |
---|---|
면역력 강화를 위한 유산균 섭취 (0) | 2020.09.21 |
아토피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 (0) | 2020.09.18 |
아토피에 좋은 노니의 4가지 효능 알아보기 (0) | 2020.09.18 |
친환경 농산물 정의와 친환경 인증 종류 (0) | 202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