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피부를 위한 온도와 습도
- 건강정보
- 2020. 9. 22.
날씨가 더워지면 아토피를 비롯한 피부 건강에는 악영향을 미칩니다. 땀을 흘리고, 습한 환경에 의해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여드름이 심하신 분들은 잘 아실 겁니다. 더운 여름 여드름이 더욱 빨개지거나 염증이 생겨 통증까지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토피도 마찬가지로 더욱 악화되기 쉬운데 온도와 습도는 아토피뿐만 아니라 피부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건강한 피부를 위한 온도와 습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부 건강에 적절한 온도와 습도 유지는 필수입니다. 특히 아토피를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는 적정한 온도와 습도가 특히나 중요한데 아토피 환자들이 이런 온도와 습도만 잘 유지해도 가려운 증상이나 염증이 많이 완화 될 수 있으니, 알맞은 온도와 습도가 어떤지 알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토피에 적정한 온도는 18~20도 입니다. 생각보다 낮은 온도입니다. 특히나 겨울철에 실내 온도가 춥다고 하여 온도를 너무 높게 설정하면 실내 공기가 건조해지고 땀 구멍이 열리는 등 피부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또한 진드기와 미세균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바뀌어 염증에 유의해야 하는 아토피 환자들에게는 좋지 못한 환경이 됩니다. 오히려 낮은 온도와 적당한 습도가 유지되는 쾌적한 환경에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항히스티만제와도 어느정도 연관이 있는데 온도가 올라가면 혈액순환이 활발해지고 혈액순환이 활발해지면서 히스타민 분비가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염증과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히스타민 분비가 온도가 높을 때 더 많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너무 높지 않은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아토피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에어컨을 적당하게 사용하여 너무 덥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겨울철에는 난방을 과하지 않게 하여 항상 18~20도 수준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의 경우에도 아이가 약한 아토피 증상이 있는데 잘 때 방 온도를 20도 정도로 계속 유지해주고 있고 이렇게 온도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면 자는 동안 긁지 않습니다. 그러다가 혹여나 온도가 22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몸을 긁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만큼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아토피 환자들에게 굉장히 중요합니다. 저희는 여름 내내 에어컨을 틀고 있으며, 심지어 겨울에도 보일러는 거의 돌리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아토피의 적정 습도는 50% 수준입니다. 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것은 온도를 유지하는 것 만큼 중요한데 습도가 너무 높으면 진드기, 집먼지 등 아토피 피부염에 악영향을 미치는 물질이 많아져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고 심하게 할 수 있습니다. 어떤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집안에서 가습기와 같은 습도 유지 장치를 사용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 보다 아토피 피부염이 생길 위험이 1.44배나 높아진다고 합니다. 보습이 중요한 아토피에서 오히려 습도가 높아져 아토피가 발병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인데 무조건 높은 실내 습도는 곰팡이와 같은 아토피에 좋지 못한 물질들이 많아지는 결과를 만들어 오히려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이를 위해 수시로 실내 습도를 체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무더운 여름에는 아토피 뿐만 아니라 건강한 피부를 위해 알맞은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불쾌지수도 올라가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쾌적한 피부 상태를 위해 온도와 습도를 항상 체크하고 아토피가 심해지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습은 충분히 해주되 낮은 온도와 적당한 습도 유지를 해주시면 더운 여름 보다 쾌적하게 지낼 수 있을 것입니다. 아토피 뿐만 아니라 여드름이나 건강한 피부를 원하시는 분들은 충분한 물 섭취도 병행해주시면 그 효과가 더욱 좋을 것입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질 자가치료 방법 및 포비코 좌욕기 사용 후기 (0) | 2024.05.16 |
---|---|
아토피 치료에 효과적인 완전식품 클로렐라 (0) | 2020.09.22 |
아토피 유발물질 계면활성제 부작용 및 천연계면활성제 (0) | 2020.09.22 |
아토피 추천 보습제 제로이드 실비 청구방법 (0) | 2020.09.21 |
면역력 강화를 위한 유산균 섭취 (0) | 2020.09.21 |